본문 바로가기
육아

아이의 감정을 폭발 시킬 수 있는 부모의 행동

by 피플싱 2024. 9. 11.

 

많은 요소들이 아이를 감정 폭발의 위기로 몰고 갈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서 부모의 행동이 가장 중요할 것입니다. 어떤 시기에나 아이의 반항, 공격, 떼쓰기에 부모가 어떻게 대처하느냐에 따라 그러한 행동이 사라지거나 지속될 수 있습니다. 

1. 객관적인 부모와 주관적인 부모

아이의 욕구를 이해하고 움직이는 객관적인 부모와 자신의 감정에 따라 움직이는 주관적인 부모를 구분해야 합니다. 주관적인 부모는 아이와 아이 행동의 편견을 갖고 보기 때문에 적절하게 반응하기 어렵습니다. 사실 주관적인 부모는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거나 잘못 대처함으로써 본의 아니게 문제를 지속시킵니다. 어떤 부모도 자신의 아이가 다른 아이를 때리거나 거짓말하거나 물건을 집어던지는 것을 바라지 않을 것입니다. 하지만 그런 행동을 보고도 그냥 지나친다면 면죄부를 주는 것이나 마찬가지입니다.

2. 이중 잣대

집에서 새는 바가지는 밖에서도 샌다는 속담이 있습니다. 종종 부모들이 아이가 버릇없는 행동을 해도 웃어넘기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음식을 던지고, 공격적으로 행동하고, 떼를 쓰고 해도 그냥 넘어가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들은 아이의 그런 행동을 보고 귀엽다거나 성장 과정이라거나 기백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게다가 자신들의 반응이 아이의 행동을 부추긴다는 것을 모릅니다. 그러다가 밖에 나갔을 때 아이가 버릇없이 행동하면 당황합니다. 집에서 아이가 음식을 던지는 것을 보고 내버려 두면 음식점에 갔을 때 얌전하게 행동하기를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아이는 엄마 아빠가 왜 어느 날은 웃어넘기고, 어느 날은 안 웃는지 이해하지 못합니다. 그래서 "왜 안 웃는 거예요? 어제는 웃었잖아요."라고 말하듯이 같은 행동을 반복합니다.

부모의 양육 방식이 서로 다른거나 이중 잣대를 가지고 있다면 아이를 감정 폭발의 위기로 몰고 갈 수 있습니다. 한쪽 부모는 너무 너그러워서 아이가 하는 행동은 뭐든지 재미있거나 쿨하거나 남자답다고 생각하고, 다른 한쪽 부모는 예의범절을 가르치려고 애씁니다. 예를 들어 아이가 놀이터에서 다른 아이를 때리는 것을 본 엄마가 걱정을 하자 아빠는 대수롭지 않게 말할 수 있습니다. "자기 방어는 할 줄 알아야지. 아이를 겁쟁이로 키우려는 거요?" 아이가 보는 앞에서 부모가 논쟁을 하는 것도 좋지 않습니다. 

아이들은 물론 상대방에 따라서 다른 행동을 보입니다. 하지만 거실에서 먹지 않기로 규칙을 정해 놓고 엄마가 밖에 나가자마자 아빠가 아들과 함께 소파에 누워 과자를 먹는다면, 게다가 "엄마가 화를 낼 테니까 우리 여기서 먹었다고 말하지 말자"라고 말하는 것은 훌륭한 부모의 태도가 아닙니다.

3. 마음의 준비가 부족한 부모

아이에게 부담이 되는 상황에서 준비할 시간을 주지 않으면 본의 아니게 아이를 감정 폭발로몰고 갈 수 있습니다. 아이의 눈을 통해 보면 다른 아이들과 노는 것에서부터 병원에 가거나 생일 파티에 참석하는 것까지 항상 힘든 상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부모가 아이의 생일 파티를 열어주려고 계획을 세웁니다. 집에 일찍 도착해서 사람들이 뒤뜰에 성을 세우고 500개 정도의 헬륨 풍선을 달고 있습니다. 그것은 어른이 보기에는 근사했지만 아무것도 모르는 아이가 부모의 손에 이끌려 뒤뜰에 나왔다면 기겁을 하고 울기 시작할 수 있습니다. 그곳에는 해적 차림을 한 남자와 많은 아이들 그리고 어른들이 모여 있었을 것입니다. 사람들은 아이를 아무리 달래도 울음을 그치지 않을 것입니다. 다음날 부모는 아이에게 말합니다. 어떻게 이렇게 근사하게 준비했는데 너는 울기만 하고 참여하지 않을 수 있니? 그리고는 다음번 생일에는 아무도 아이의 생일 파티를 한다고 말하지 않습니다. 아이에게서 어떤 반응을 기대한 것일까요? 아이는 놀란 것이 당연합니다. 그 파티는 아이를 위한 파티가 아니고 어른을 위한 파티였던 것입니다. 

 

'육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의 기질에 따른 훈육  (0) 2024.09.22
아이 훈육에 실패하는 원인  (1) 2024.09.12
아이들의 정서적, 사회적 유형  (0) 2024.09.11
불편함으로 우는 아기  (0) 2024.09.10
올바른 아기들의 취침의식  (2) 2024.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