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는 완전한 인간이 되어서 세상에 나오는 것이 아닙니다. 아기의 소화 기관은 아직 덜 자란 상태입니다. 또한 일련의 사건들과 감정이 문제를 점점 어렵게 만듭니다. 어떤 부모들은 문제가 뭔지 몰라서 무력감에 빠집니다. 부모로서 자격에 대해 회의를 갖기 시작하면 이러한 불안감은 행동에 영향을 미칩니다. 그래서 긴장 하게 되고 아기를 먹이면서 전전긍긍해합니다.
부모들이 하루종일 운다고 하면 가스, 식도역류와 같은 위장 장애나 또는 산통을 의심해야합니다. 갓난아기의 소화 기관은 아직 미숙합니다. 태내에서 9개월 동안 탯줄을 통해 영양 공급을 받다가 이제 독립적으로 먹고 소화를 시켜야 하므로 처음 6주까지는 불안정한 시간이 될 수 있습니다.
가스, 식도 역류, 산통은 각기 다른 증상이지만 초보 부모들은 이 세 가지를 혼동하기 쉽습니다. 설상가상으로 소아과 의사들은 때로 이 세 가지 증상 모두에 산통이라는 포괄적인 용어를 쓰는데, 그 이유는 무엇보다 연구자들 사이에서도 무엇이 산통인지에 대해 의견이 분분하기 때문입니다.
1. 가스는 무엇이고,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가스란 수유를 할 때 아기가 삼키는 공기를 말합니다. 어떤 아기는 삼키는 감각을 좋아해서, 먹고 있지 않을 때도 공기를 삼킵니다. 하지만 배에 가스가 차면 어른도 그렇지만 아기에게 매우 고통스러울 수 있습니다. 공기가 장 속에 갇혀서 빠져나가지 못하면 통증을 유발합니다. 방귀나 트림으로 배출해야 합니다.
배에 가스가 찼을 때 어떤 느낌인지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아기는 다리를 가슴으로 끌어 올릴 것입니다. 얼굴을 찌푸립니다. 또한 울음소리에 어떤 분명한 높이와 어조가 있을 것입니다. 끊어졌다 이어지는 단속적인 울음을 울고 마치 불만을 토할 듯이 헐떡거릴 것입니다. 또한 울음을 우는 사이사이에 눈을 굴리면서 미소처럼 보이는 표정을 지을 것입니다.
트림을 시킬 때 손바닥으로 아기의 왼쪽 배를 위쪽으로 살며시 쓸어 올립니다. 그래도 안 되면 아기 팔을 엄마 어깨 위로 넘기고 다리는 아래로 내려트려서 안고 벽지를 바를 때 공기 방울을 내보내는 것처럼 위쪽으로 등을 문지릅니다. 또는 똑바로 눕혀서 다리를 잡고 천천히 자전거 타기 동작을 시킵니다. 아니면 아기를 뒤로 안고 엉덩이를 두드려서 힘을 주게 합니다. 복통을 완화시키기 위해 아기를 뒤로 안고 엉덩이를 두드려서 힘을 주게 합니다. 복통을 완화시키기 위해 아기를 한쪽 팔 위에 엎드리게 해 놓고 손바닥으로 복부를 지그시 누릅니다. 목욕 타월을 10센티미터 너비로 접어서 아기 배에 복대처럼 감아 주면 같은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너무 바짝 조이지 않도록 조심해야 합니다.
2. 식도 역류는 무엇이고,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식도 역류란 속이 쓰리고 때로 구토를 동반합니다. 심하면 합병증이 생기고 피가 섞인 위액이 올라옵니다. 식도 역류는 어른에게도 고통스럽지만 아무것도 모르는 아기는 더 말할 나위가 없습니다. 소화 기관이 제대로 움직이면 식도괄약근이 규칙적인 연동 운동으로 적절하게 열리고 닫히면서 음식물을 위로 내려 보내서 머물게 합니다. 하지만 괄약근이 미성숙하면 열린 후에 제대로 닫히지가 않게 되고 위의 내용물과 함께 위산이 올라와서 식도에 염증을 일으킵니다.
아기가 한두 번쯤 토하는 것은 그렇게 놀랄 일이 아닙니다. 어떤 아기든지 먹은 후에 식도 역류가 일어날 때가 있습니다. 그리고 민감한 아기에게 좀더 자주 일어납니다.
식도 역류가 있으면 아기는 먹는 동안 힘들어 합니다. 식도괄약근이 닫혀 있으면 음식이 내려가지 못하고 다시 올라옵니다. 또는 음식이 위로 내려간 다음 식도괄약근이 닫히지 않아서 몇 분 후에 다시 올라오거나 뿜어져 나옵니다. 때로 위경련이 일어나면 1시간쯤 지난 후에 흐물거리는 치즈처럼 보이는 내용물이 식도를 거슬러 올라오기도 합니다.
식도 역류로 소아과를 간다면, 대부분은 건강 내력과 진찰만으로 충분히 문제가 진단되지만 증상이 심한 경우나 다른 합병증이 의심되면 엑스레이 촬영, 초음파 검사, 내시경 검사, 식도 PH 검사 등을 실시할 것입니다. 식도 역류의 일반적인 치료는 제산제와 이완제를 복용하는 것입니다.
집에서는 침대 매트리스를 올려주고, 트림을 시키면서 등을 두드리지 않아야 합니다.
'육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올바른 식습관을 만드는 방법 (1) | 2024.09.09 |
---|---|
아이의 산통이란 무엇인가? (0) | 2024.09.09 |
현재 아이들의 수면 문제 (2) | 2024.09.04 |
아이 낮잠 재우는 방법 (0) | 2024.09.03 |
모유 수유 엄마가 경계해야 할 것 (2) | 2024.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