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바른 식습관은 아기가 태어나는 순간부터 중요합니다. 아기의 식습관에는 아기의 행동, 엄마의 태도, 규칙적인 일과, 영양 섭취가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식습관이 잘못되는 경우를 보면 대부분 이 네 가지 요인 중 한 가지와 관련이 있습니다.
1. 아기의 행동 통제
가정마다 식탁에서 중요시하는 규칙이 있습니다. 올바른 식습관을 만들기 위해서는 아이가 십대가 될 때까지 기다릴 것이 아니라 지금 당장 규칙을 가르쳐야 합니다. 아기를 유아용 식탁의자에 처음 앉힐 대부터 시작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아이들이 음식을 으깨고 주무르고 하면 즉시 의자에서 내려놓고 식사를 끝낸 것으로 간주하는 가정에서의 아이들은 이 상황이 무슨 상황인지 이해하지 못하지만 유아용 식탁의자를 노는 것이 아니라 먹는 것과 연결시킬 것입니다. 예절이 중요하다고 믿는 부모라면 본보기를 보여야 합니다. 이미 집에서 식탁 예절을 이해한 아이는 레스토랑에 데려가도 문제가 없습니다. 하지만 먹으면서 돌아다니거나 식탁에 발을 올려놓는 것을 내버려 둔다면 밖에 나가서 예의 바르게 행동하리라고 기대할 수 없습니다.
2. 엄마의 태도
아이는 부모를 따라갑니다. 만일 부모가 편식을 하거나 음식을 허겁지겁 먹는다면 아이도 음식을 즐기지 못할 것입니다. 엄마는 자신에게 물어봐야합니다. 음식이 나에게 중요한가? 나는 음식을 정성껏 만들어서 맛있게 먹고 있는가? 그렇지 못한 엄마는 아마 식구들이 맛있게 먹을 만한 음식을 준비하지 못할 것입니다. 아무렇게나 뒤섞어서 맛없는 음식을 내놓을지도 모릅니다. 어떤 엄마들은 이런저런 다이어트를 하느라 먹는 일에 노심초사합니다. 아기에게도 저지방식을 주고 탄수화물을 너무 많이 먹은 것은 아닌지 걱정합니다. 이것은 아기의 영양을 고려하지 않은 잘못된 일입니다. 아기는 어른과 다른 영양분을 필요로 합니다. 게다가 엄마가 아이에게 어떤 음식을 모 먹게 하거나 또는 나쁜 음식이라고 말한다면 나중에 심각한 편식 문제로 이어질 수 있는 메시지를 엄마가 아기에게 전달하는 셈입니다.
부모는 아기가 시행착오를 통해 배우도록 허락해야 합니다. 어떤 엄마들은 아기가 배우고 있는 동안에 실수를 하고 어지르는 것을 참지 못합니다. 아기가 음식을 흘리는 것에 신경을 지나치게 쓰고 지저분하다고 나무라면 얼마 안 가서 아기는 먹는 것을 불쾌한 경험과 연결시킬 것입니다.
3. 규칙적인 일과
아이가 정해진 시간에 정해진 장소에서 음식을 먹도록 하는 것은 식사뿐 아니라 아이를 존중하는 것입니다. 식사는 전화 통화를 하는 중간이나 잠깐 짬을 내서 하는 일이 아닙니다. 그 무엇보다 우선시해야 합니다. 그리고 1주일에 적어도 두 번은 가족이 함께 모여서 식사를 해야 합니다. 외동이라면 부모가 역할 모델이 됩니다. 손위 형제에게 배울 수 있으면 더욱 효과적입니다. 식탁에서 다른 가족들이 본보기를 보여 주면 아이는 스스로 따라 할 것입니다.
4. 영양 섭취
아이의 식욕이나 먹는 양은 어쩔 수 없다고 해도 적어도 어릴 때는 부모가 아이 입에 들어가는 음식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아이마다 식성이 다르다고 해도 결국 아이가 나중에 자라서 스스로 건강식을 선택하는 것은 부모가 하기에 달려 있습니다. 만일 부모가 건강식을 먹는다면 아마 아기에게 무엇을 먹여야 하는지 잘 알고 있을 것입니다. 그렇지 않다면 부모가 먼저 영양에 대해 배워야 합니다. 건강식은 아기일 때만 중요한 것이 아닙니다. 보통 아기가 두돌이 넘어서 아무것이나 다 먹을 수 있게 되면 공짜 장난감과 해피밀을 주는 패스트푸드점에 데려가기 쉬울 것입니다. 하지만 그런 곳에 자주 가면 아기 건강에 해로울 수 있습니다. 음식 일지를 기록하면 아이에게 어떤 음식을 줄지 좀 더 신중하게 생각할 수 있습니다.
아이들은 잘 먹는 날이 있고 식욕이 없는 날이 있습니다. 어떤 음식을 한 달 동안 잘 먹다가 갑자기 거부할 수도 있습니다. 아니면 몇 달 동안 먹이려고 해도 먹지 않던 음식을 어느 날 갑자기 먹기 시작합니다. 아이가 먹으려고 하지 않는 음식을 억지로 먹이지 말아야 합니다. 아기에게 선택권을 주도록 해야 합니다.
'육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올바른 아기들의 취침의식 (2) | 2024.09.10 |
---|---|
규칙적인 일과가 없는 아기의 수면 문제 (0) | 2024.09.09 |
아이의 산통이란 무엇인가? (0) | 2024.09.09 |
아이들의 위장 장애 (0) | 2024.09.08 |
현재 아이들의 수면 문제 (2) | 2024.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