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육아

올바른 아기들의 취침의식

by 피플싱 2024. 9. 10.

 

아기가 잠이 드는 과정은 하품으로 시작해서 마침내 깊은 잠에 빠지는 것으로 끝나는 여행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아기가 목적지에 도착하려면 엄마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아기의 수면 신호를 포착하고 재울 준비를 해야 합니다.

1. 아기들의 수면 신호

아기를 재우려면 아이가 잘 준비가 되었는지 살펴야 합니다. 아기가 피곤하면 어떤 모습을 보이는지, 신호가 보이면 즉시 취침의식에 들어가는지 등 아기의 수면 신호를 놓치면 재우기가 훨씬 더 어려워질 것입니다.

어떤 아기들은 천성적으로 잠을 잘 잡니다. 하지만 아기마다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관찰이 필요합니다. 아기가 피곤할 때 어떤 모습을 하는지 알아봐야 합니다. 갓난아기라면 종종 하품이 가장 분명한 단서가 됩니다. 하지만 보채거나 안절부절못하는 등의 무의식적인 행동을 보일 수 있습니다. 어떤 아기는 눈을 크게 뜨고, 어떤 아기는 삑삑거리고, 어떤 아기는 찍찍거릴 수 있습니다. 6주가 되면 점차 머리를 가누게 되는데, 사람 얼굴이나 장난감을 외면하면서, 또는 엄마 품으로 파고들면서 신호를 보냅니다. 어떤 식이든 신호가 보이면 즉시 취침의식에 들어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기의 수면 신호를 놓치거나 밤에 좀 더 재우겠다고 깨워 두면 잠자는 법을 가르칠 기회가 없어집니다.

2. 진정시키기

아기가 피곤한 것이 확실해 보여도 활동을 바꿀 시간을 주고 나서 침대에 눕혀야 합니다. 정해진 순서대로 하는 취침의식은 아기에게 다음에 올 상황을 예상할 수 있게 해 줍니다. 또한 강보로 감싸면 아기가 포근하고 안전하게 느낍니다. 이런 절차는 아기에게 잘 준비를 하자라고 말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취침의식은 자는 법뿐 아니라 나중에 오는 분리불안에 대비해서 신뢰를 배우게 하는 바탕이 됩니다. 

3개월 미만의 아기를 위한 취침의식은 보통 15분이 넘지 않을 것입니다. 어떤 아기는 커튼을 닫고 강보에 싸서 침대에 눕히면 옹알이를 하다가 금방 잠이 듭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아기는 활동 시간을 수면 시간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옆에서 진정을 시켜줄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어떤 아기는 좀 더 많은 것을 요구합니다.

대표적인 취침의식으로는 주변정리, 강보에 싸기, 앉아 있기, 다독이기의 4단계가 있습니다. 주변 정리는 아기를 조용한 곳으로 옮기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아기 방에 들어가서 커튼을 닫고 원하면 조용한 음악을 틉니다. 마지막 몇 분은 조용하고 평화롭고 차분한 분위기를 조성합니다.

두 번째 강보 싸기는 옛날부터 사람들은 아기를 강보에 쌌습니다. 현존하는 원시 문화에서도 아기를 강보에 싼 흔적이 발견됩니다. 그리고 병원에서도 아기를 강보에 싸 두기 때문에 집에 오면 계속해서 그렇게 해야 합니다. 특히 아기침대에 눕힐 때는 강보에 싸야 합니다. 3개월 미만의 아기는 팔다리를 자기 마음대로 통제하지 못합니다. 어른들을 피곤하면 몸이 늘어지지만 아기는 더 긴장을 해서 팔다리를 휘두릅니다. 이럴 때 아기는 팔다리가 자기 것이라는 것을 알지 못합니다. 그래서 자기가 마구 휘두르는 팔다리가 혼란스러운 환경의 일부가 됩니다. 그래서 적어도 3~4개월까지는 강보에 싸는 것이 좋습니다. 

세 번째 앉아 있기는 아기를 강보에 싼 후에 똑바로 세워서 안고, 3분 정도 조용히 앉아 있습니다. 아기 얼굴을 엄마의 목이나 어깨에 기대도록해서 시각 자극을 차단합니다. 아기를 흔들거나 걸어 다니지 말아야 합니다. 아기가 잠들기 전에 눕히는 것이 가장 이상적입니다. 아기를 눕혔을 때, 평온해 보이면 방에서 나와 아기 혼자 잠이 들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기가 불편해하지 않는다면 잠이 들기를 기다릴 필요가 없습니다. 

마지막 다독이기는 아기를 침대에 눕힐 때 다소 보채거나 울기 시작하면 잘 준비가 되었더라도 진정시키기 위해 신체적인 접촉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때 아이를 진정시키기 위해서 흔들거나 어떤 종류의 버팀목을 사용한다면 임기응변식 육아가 될 수 있습니다. 오히려 아기 귀에 쉬쉬 하고 속삭이면서 동시에 등을 다독거리면 좋습니다. 아기 등을 다독거리고 쉬 소리를 들려주면 아기는 울음에 계속 집중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쉬 소리와 다독임에 초점을 맞추고 결국 울음을 그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