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집안일 참여의 중요성
만 5세 이전 아이의 훈육 목적은 감정조절 능력을 향상시키고, 나와 타인에게 해가 되는 행동을 하지 않도록 돕는 데 있습니다. 아이가 어렸을 때부터 집안일에 참여하도록 하는 것도 같은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좋은 방법입니다. 집안일은 아이가 하기 싫은 일을 규칙에 따라서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나아가 가족을 배려하는 기쁨을 맛보게 할 수 있습니다. 미국 미네소타 대학의 마티 로스만 교수는 84명의 성장과정을 추적 분석한 연구결과, 이른 나이에 집안일에 참여할수록 성공할 가능성이 크며, 아이들의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이야기합니다. 집안일이 아이들에게 인생 전반에 필요한 책임감, 능숙함, 자립심, 그리고 자아존중감을 가르치기 때문입니다. 특히 만 3~4세 때의 집안일 참여도가 20대 중반의 성공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15~16세까지 집안일에 참여하지 않다가 참여하면 오히려 역효과가 난다고 말합니다.
아이들에게 집안일을 제시하는 방식도 아이들이 사회에 잘 적응하는 어른으로 성장하는 데 영향을 미칩니다. 아이들에게 주어지는 과제가 아이의 능력에 맞는 것이어야 하며, 집안일을 잘 돕는 아이라 하더라도 너무 과하게 시키면 안 된다는 사실에 주의해야 합니다.
2. 집안일 시작 시기
만 3세 이전에 아이가 과잉보호로 기다리는 연습을 하지 못하고, 상대에게 해가 되는 행동을 했을 때 안 된다는 메시지를 전달받지 못했다면, 만 3세 이후 집안일에 참여할 것을 요구해도 아이는 적응하기가 어렵습니다. 따라서 가능하면 간단한 말귀를 알아듣는 17개월에 "~을 주세요"부터 연습시키는 게 필요합니다. 대가족으로 생활하는 경우에는 아이들이 나이에 따라 해야 하는 집안일이 정해져 있습니다. 형제자매들이 집안일을 하는 모습을 보면서 자연스럽게 모방학습을 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핵가족인 경우에는 부모나 주양육자를 제외하고는 모방학습 할 기회가 많지 않습니다. 따라서 핵가족에 맞는 집안일 함께하기 매뉴얼이 필요합니다. 집안일은 아이에게 가족을 배려할 기회를 제공하는 일일뿐 아니라, 일상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보여주고 학습시킬 수 있는 좋은 기회입니다. 또한 아이가 상황에 맞는 말을 할 수 있게 됨으로써 언어이해력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언어이해력이 늦은 아이라면 책을 읽어주는 것보다 오히려 특정한 상황에서 양육자가 하는 말을 자주 들을 수 있도록 하는 게 더 효과적입니다. 눈치와 더불어 문장의 의미를 이해하는 속도도 빨라집니다.
3. 집안일 시키기 전에 준비해야 할 것들
부모나 양육자가 아이와 한 약속을 지키는 사람이어야 합니다. 부모나 양육자는 아이의 질적운동성 수준(몸놀림 수준, 손놀림 수준)에 맞는 역할과 집안일을 요구해야 합니다. 집안일에 대한 보상으로 아이에게 무엇을 줄지는 양육자들이 상의해서 결정합니다. 단, 집안일은 당연히 함께해야 하는 일이므로, 칭찬 이상의 물질적인 보상이 없어도 좋습니다. 집안일은 가족을 배려하는 일입니다. 따라서 아이가 즐거운 일이라고 생각하도록 집안일을 시킬 때 양육자가 목소리 톤을 높여서 말하도록 노력합니다. 집안일은 어른과 마찬가지로 아이도 하기 싫은 일입니다. 양육자가 아무리 즐겁게 유도한다고 해도 아이가 하기 싫어하는 일일 수 있다는 사실을 이해해야 합니다. 아이에게 화를 내지 않도록 감정조절을 할 수 있어야 합니다. 집안일 함께하기는 아이가 집에 머무는 동안 반복해야 하는 과제입니다. 오늘 아이가 협조하지 않았다 해도 아이의 발달 수준에 맞는 집안일이라면 다음날 다시 시도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집안일을 시킬때는 권유형으로 말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 규칙으로 정해놓은 일일 경우 규칙을 강조해야 합니다. 보상 규칙을 정한 경우, 보상이 주어지는 일이라는 점을 거듭 이야기해야 합니다. 아이가 전혀 협조하지 않으면 침묵을 해줘야 합니다. 권유형으로 거듭 말하고 규칙을 강조해도 협조하지 않을 때는 침묵하는 것이 화를 내는 것보다 효율적입니다. 아이에게 양육자의 마음이 좋지 않음을 알리고 자신의 잘못을 깨닫게 하는 훈육 효과가 매우 큽니다.
'육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를 키울 때 불안감을 줄이는 방 (3) | 2024.10.15 |
---|---|
발달을 알면 아이가 보인다 (1) | 2024.10.13 |
말로 반항하는 아이들의 훈육법 (0) | 2024.10.10 |
아이를 키울 때 규칙의 중요성 (1) | 2024.10.09 |
48개월 이후 아이의 스트레스 반응들 (1) | 2024.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