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4

말로 반항하는 아이들의 훈육법 48개월 이후 아이들은 말을 잘하기 시작하면서, 말로 반항하는 경우가 생깁니다. 이럴 경우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자기중심적인 논리로 말대꾸 하는경우아이가 자기 논리로 말대꾸를 할 때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빨리 집에 돌아가야 하는 양육자와 시장에서 본 장난감을 사고 싶은 아이는 모두 자기중심적인 논리에 빠져들어 대화를 하기 쉽습니다. 마음이 바쁜 양육자는 호흡을 가다듬고 "집에서 나오기 전에 약속했지? 오늘은 빨리 집에 들어가야 하고 장난감을 살 수 없다고, 미안해 오늘은 약속대로 장난감을 사지 않아. 빨리 집에 가지"하고 말할 여유도 갖기가 어렵습니다. 아이의 말대꾸 공격을 당한 양육자 역시 아이를 두고 빠른 걸음으로 횡단보도를 건너면서 아이에게 수동적인 공격성을 보이게 됩니다... 2024. 10. 10.
아이를 키울 때 규칙의 중요성 아이의 훈육 목적은 가정이나 공공장소에서 지켜야 할 기준을 정확히 이해시키고 지키도록 도와주는 것입니다. 공공장소나 낯선 곳에 갔을 때 다른 사람들이 어떻게 행동하는지 살펴보도록 한 후 아이가 행동하도록 지속적으로 이야기해주어야 합니다. 집단의 규율은 내가 정하는 것이 아니고, 이미 그 집단에 속해 있는 사람들의 행동규범을 따라야 한다는 사실을 알려주는 훈육이 필요합니다. 만약 아이가 규율을 지키지 못했다면 스스로 잘못을 인정하고 정해진 규칙에 따라 책임을 지는 연습을 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해줘야 합니다. 1. 규칙 미리 알려주기아이가 48개월 이상이 되면, 상황별로 기대되는 행동을 말로 설명해 주면 아이가 상대방의 입장까지 이해할 수 있는 시기입니다. 훈육의 시작은 아이에게 기대되는 행동을 미리 알.. 2024. 10. 9.
48개월 이후 아이의 스트레스 반응들 48개월 이후 아이들은 원하는 바가 이뤄지지 않아 스트레스를 받으면 아래와 같은 반응을 보입니다. 아이가 현재 스트레스 상황인지 행동을 관찰할 필요가 있습니다. 1. 스트레스받았을 때 행동들아이들은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눈물을 하염없이 흘리거나, 고성을 지르거나, 분에 못 이겨 몸에 힘을 주는 경우가 있습니다. 손으로 얼굴을 감싸고 서럽게 울고, 억울하다는 모습을 보입니다. 물건을 던지기도 하고, 방방 뛰기도 하고, 발을 동동 구르는 경우도 있습니다. 심한 경우에는 머리를 벽에 박거나, 이를 꽉 물고 부들부들 떨거나, 갑자기 넘어지는 척하거나 부딪친 것처럼 행동하는 등 자해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 엄마 아빠를 때리거나, 할아버지나 할머니를 때리면서 밀거나 발로 차는 등의 행동을 하는 경우도 있습니.. 2024. 10. 9.
공격성을 보이는 아이 훈육하기 33~48개월 아이의 경우 공격성을 보이기도 합니다. 이럴 때 적절한 훈육의 기술을 사용해야 합니다1. 적극적 공격성을 보이는 아이아이들이 나타내는 모든 공격적인 행동의 목적은 상대방을 흥분시켜서 에너지를 약하게 만드는 것입니다. 양육자가 아이의 공격적인 행동에 흥분하면 아이의 의도에 넘어가는 것입니다. 아이의 공격적인 행동보다 더 심한 공격성을 보여주어야 아이의 행동을 멈출 수 있습니다. 그러다 보면 신체적인 체벌과 정서적인 학대를 하게 되기 쉽습니다.양육자가 설득하기 위해서 상황을 설명하면 아이는 바닥에 눕거나 발버둥을 치거나 더 소리를 지르는 등 자신의 공격성을 더 크게 나타낼 수 있습니다. 혹은 "아니야"라는 말을 하면서 말로 자신의 불만을 적극적으로 표현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양육자의 에너지를 .. 2024. 10.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