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육아34

48개월 이후 아이의 스트레스 반응들 48개월 이후 아이들은 원하는 바가 이뤄지지 않아 스트레스를 받으면 아래와 같은 반응을 보입니다. 아이가 현재 스트레스 상황인지 행동을 관찰할 필요가 있습니다. 1. 스트레스받았을 때 행동들아이들은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눈물을 하염없이 흘리거나, 고성을 지르거나, 분에 못 이겨 몸에 힘을 주는 경우가 있습니다. 손으로 얼굴을 감싸고 서럽게 울고, 억울하다는 모습을 보입니다. 물건을 던지기도 하고, 방방 뛰기도 하고, 발을 동동 구르는 경우도 있습니다. 심한 경우에는 머리를 벽에 박거나, 이를 꽉 물고 부들부들 떨거나, 갑자기 넘어지는 척하거나 부딪친 것처럼 행동하는 등 자해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 엄마 아빠를 때리거나, 할아버지나 할머니를 때리면서 밀거나 발로 차는 등의 행동을 하는 경우도 있습니.. 2024. 10. 9.
공격성을 보이는 아이 훈육하기 33~48개월 아이의 경우 공격성을 보이기도 합니다. 이럴 때 적절한 훈육의 기술을 사용해야 합니다1. 적극적 공격성을 보이는 아이아이들이 나타내는 모든 공격적인 행동의 목적은 상대방을 흥분시켜서 에너지를 약하게 만드는 것입니다. 양육자가 아이의 공격적인 행동에 흥분하면 아이의 의도에 넘어가는 것입니다. 아이의 공격적인 행동보다 더 심한 공격성을 보여주어야 아이의 행동을 멈출 수 있습니다. 그러다 보면 신체적인 체벌과 정서적인 학대를 하게 되기 쉽습니다.양육자가 설득하기 위해서 상황을 설명하면 아이는 바닥에 눕거나 발버둥을 치거나 더 소리를 지르는 등 자신의 공격성을 더 크게 나타낼 수 있습니다. 혹은 "아니야"라는 말을 하면서 말로 자신의 불만을 적극적으로 표현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양육자의 에너지를 .. 2024. 10. 8.
만4세 아이를 혼낼 때 주의해야 할 사항 생후 33~48개월에는 남을 해치거나 자신을 해치게 하는 행동을 허용할 수 없다는 메시지를 아이에게 다양한 훈육의 기술을 활용해서 지속적으로 전달해야 합니다. 아이가 집단생활에서 규율을 지켜야 한다는 사실도 인지하게 되므로, 언어이해력이 늦어도 또래 친구들의 행동을 관찰할 기회를 주면서 설명해줘야 합니다. 아이가 건강한 눈치를 통해서 이해할 수 있습니다.양육자의 말은 이해하지만 스트레스 상황에서 욱하고 상대방에게 공격적인 태도를 보이는 기질의 아이는 집단의 규칙을 지키고 다른 친구들을 때리면 안 된다는 약속을 했더라도 지키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 상황을 이해하고 반복적으로 훈육을 시도해야 합니다. 33~48개월 아이를 훈육하기 전에 몇 가지 주의사항이 필요합니다.1. 언어이해력이 늦는지 살펴봐야 .. 2024. 10. 8.
말을 통한 훈육이 가능한 시기 생후 33~48개월에는 민첩성과 순발력 등이 매우 빠른 속도로 좋아지므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요구되는 아이의 몸 움직임 수준도 높아집니다. 손 조작 능력 역시 좋아져 숟가락질이나 단추 채우기 등과 같은 일을 혼자서 해결할 수 있으므로 아이의 자신감이 높아지는 시기입니다. 이 시기에는 말을 통한 훈육이 가능한 시기입니다.1. 인지발달 특성과 언어이해력민첩성과 순발력이 좋아지는 만큼 행동을 저지할 때 아이가 반항하는 힘 또한 매우 강해집니다. 양육자가 체력이 매우 좋은 남성이 아닌 이상 아이를 들어 올리거나 운반하거나 행동을 제지하는 일이 매우 어려운 시기입니다. 아이가 조건부 문장을 이해할 정도의 언어이해력을 갖게 되므로 훈육할 때 말을 많이 활용해주어야 합니다.아이의 언어이해력이 정상범위 내에서 늦다.. 2024. 10. 7.
월령별 친구를 때리는 아이들의 훈육법 1.13개월 아이가 또래친구들을 밀고 괴롭히는 경우체구가 크면서 몸 움직임의 민첩성, 순발력 등도 매우 좋은 아이들이 있습니다. 이런 아이들은 힘 조절 능력이 좋으므로 또래 친구를 살짝만 밀어도 안정성이 떨어지는 아이들은 크게 넘어질 수 있습니다. 그럼 양육자는 매우 미안해하면서 사과를 해야 할 일이 많아지고, 어떻게 훈육해야 할지 난감합니다.몸 움직임의 안정성이 좋으면서 상대를 배려하는 기질의 아이의 경우에는 또래 친구들이 안정감을 느끼지만 자기중심적인 기질을 가지고 있다면 친구들이 위협감을 느끼게 됩니다. 이런 아이를 훈육하려면 양육자가 자기보다 힘이 세다고 느끼게 됩니다. 이런 아이를 훈육하려면 양육자가 자기보다 힘이 세다고 느끼게 해야 합니다. 만약 힘이 약하다고 생각하면 양육자가 하는 말을 전혀.. 2024. 9. 30.
24개월 아이의 훈육 시 주의사항 생후 17~32개월은 아이가 문장을 이해하는 시기입니다. 따라서 대화로 안 된다는 메시지를 전달하고, 형제자매나 어린이집에서 또래 친구들과 규칙을 지켜가며 잘 지내도록 하는 데 훈육의 목적이 있습니다.이 시기 아이가 언어이해력이 늦은 경우, 아이의 행동을 규제하는 말을 길게 하면 이해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아이의 언어이해력 수준을 고려해서 말하는 게 중요합니다. 17~32개월 아이를 훈육하기 전에는 다음과 같은 주의 사항이 필요합니다1. 아이의 언어이해력을 고려해야 합니다. 사람은 갈등 상황에서 보통 협상과 타협이라는 해결방법을 사용합니다. 협상과 타협이 가능하려면 조건부 문장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합니다. 아이의 훈육도 마찬가지입니다. 아이가 "지금 집에 가면 저녁 먹고 아이스크림을 줄 거고, 지금 .. 2024. 9. 29.